본문 바로가기

일본 라이브하우스 이야기 3) 7년차 여성 스탭 K씨의 1주일 한국의 밴드가 일본 라이브하우스에서 공연을 한 후에 밝히는 소감은 대부분 “경탄” 일색이다. 물론 해외의 새로운 곳에서의 경험이라 좋게 윤색되는 측면도 없지 않겠다. 그러나, 실제로 무대 모니터 스피커에서 일단 감동을 받고, PA와 조명 엔지니어는 물론 무대 스탭의 섬세하고 친절한 서포트에 좋은 인상을 받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일본 라이브하우스의 강점은 시설과 장비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 사실 한국의 라이브하우스나 한국 뮤지션들보다 못한 시설과 장비를 갖춘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의 강점은 무엇보다도 사람들, 라이브하우스를 운영하고 매일 공연을 진행, 서포트하는 스탭들에 있다고 본다. 보통 이 바닥(라이브하우스, 레이블등 음악씬)에서는 6년차 이상이 되어야 경력직으로 인정한다. 업체에 따라 다르겠지만.. 더보기
일본 라이브하우스 이야기 2) 노르마 일본 라이브하우스의 전체 숫자를 다룬 글에서 '노르마'를 언급한 바 있다. 거의 모든 라이브하우스가 채택하고 있는 '노르마'를 알지 못하면, 라이브하우스 시스템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 라이브하우스, 클럽은 물론 일본 경제 전반에 있어 자주 사용되는 '노르마'라는 단어는 한국에서는 다소 생소한 개념일 것이다. (사진은 작년 11월 9일 시부야 O-Nest에서 열린 기획공연에 게스트 뮤지션으로 출연한 Cosa Nostra) 라이브하우스에서 노르마란, 출연하는 아티스트가 티켓의 일정량을 선구매하는 것을 말한다. - 실례로 살펴본 노르마 시스템 토쿄도 무사시노시의 키치조지에 위치한 라이브하우스 WARP를 실례로 들어보겠다. 캐퍼시티 : 스탠딩 200명 오디션 토/일 티켓금액 1,000엔, 노르마 15매 데모테.. 더보기